[베트남] 교통문화
<해당포스팅은 남부지역을 기준으로 작성된 자료입니다>
오토바이 행렬
비지니스라던가 여행이라던가 베트남에 도착한다면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베트남 특유의 오토바이 문화이다. 이미 여행서적 이라던가 블로그 등을 통하여 대충 그 문화에 대해 알고 있다고 말 할 수도 있겠지만 이게 실제로 보게 되면 또 다른 느낌으로 와 닿는다. 몇일 정도 생활하다보면 금세 익숙해 지기는 하지만 처음 접하는 그 순간 느끼는 생소함은 분명히 존재한다.
모든 중심은 오토바이에있다
베트남에서는 남녀노소를 불구하고 거의 모든 사람들이 오토바이를 소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지는 않더라도 집마다 오토바이 없는 집은 한집도 없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신호체계들은 오토바이가 중심에 있다. 다니다보면 서서히 느끼겠지만 울퉁불퉁한 인도는 당연하고 분명 사람이 걸어다녀야 하는 인도지만 이는 암묵적인 오토바이 주차장이다. 인도를 통해 길을 가다가 빼곡하게 주차된 오토바이로 인해서 차도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는 흔한 일상이다. 때문에 장시간 한지역에 볼일이 있어 온 것이 아니고 여러지역 짐을 들고 이동해야 하는 목적을 가지고 베트남에 여행 온 배낭여행자라면 배낭여행 답게 케리어보다는 배낭을 더 추천하고 싶다.
단순하게 수 없이 이어지는 오토바이 행렬만이 생소하게 다가 오는것은 아니다. 도로에 그려져 있는 것은 횡단 보도임이 분명하나 횡단보도 끝에 높은 턱과 함께 잔디와 나무를 심은 가로수 공간이 마련되어 있기도하고, 사슬로 인도와 횡단보도간의 사이를 막아 놓기도 하다. 이곳에서의 횡단보도는 이쪽으로 건너라는 표시일 뿐이지 네가 건너가기 위해, 도보를 이용하는 사람에게 최적화된 공간은 절대로 아님은 분명하다.
일단 신호체계부터가 우리나라와 같은 명료한 기준이 없다. 횡단보도는 있으나, 신호등이 없는 곳도 많기 때문에 이 문화에 적응하기 전까지는 횡단보도를 건너는 것 것 부터 쭈뼜쭈뼛하게 될 것이다.
신호등이 초록불이라고해서 안심하고 걸어서도 안된다. 위해서 말했듯이 횡단보도의 명료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사람이 지나갈 수 있을 정도의 차량 통제만 하는 것이지 절대 사람만을 위한 신호체계가 아니다.
처음 오게되면 가장 흔하게 하는 실수는 횡단 보도를 이용하면서 오토바이가 온다고 쭈뼛거리다가 뒤로 물러나는 경우다. 오히려 위험한 행동이다. 안전거리 이상으로 교통수단이 다가온다면 절대 뒤로 물러서지말고 멈춰서면 된다. 차량과 달리 오토바이는 방향전환이 보다 쉽기 때문에 서 있는다면 알아서 오토바이 행렬이 모세의 기적을 일으키며 자신을 지나칠 것이다.
도로
베트남의 모든 도로에서는 사람을 제외한 모든 교통수단이 통과 가능하다. 오토바이는 당연하고 차 그리고 자전거까지 같은 도로를 활주한다. 서로 다른 속도는 제한이 되지 않는다. 서로 서로 비켜가면 된다.
처음 자전거를 빌려서 도로변에 나갔을 때는 교통량이 몰리는 사거리 등을 마추질 때마다 움찔움찔 멈춰서곤 했는데 이역시 횡단보도를 건널 때와 비슷한 위험이다. 그 위험 정도가 높아짐에따라 겁도 늘어서 자꾸 멈춰서게 되는데, 그렇게되면 엄청난 경적소리와 홀로 뻘쭘함을 느끼게 된다. 아직 한국의 신호체계가 익숙한 이라면 베트남 입국첫날부터 번화가에서의 오토바이 렌트는 극구 말리고 싶다. 한적한 지역이라면 몰라도.
2014.02.13-27